Published on
8 min read

생산성을 폭발적으로 높이는 방법 - 더 느리게 가기

더 느리게 가기

효율적이고 싶으신가요?
그렇다면 더 느리게 가는 것도 고려해 봐야 합니다.

우리는 더 빠르게 가고 싶다.

효율적이고 싶은 사람들은 대부분,
더 많은 것을, 더 다양한 것을 하고 싶어 하죠.

그렇지만 우리는 많은 일을 한 번에 처리할 수 없습니다.

멀티태스킹은 신화다.

여러 가지 일을 동시에 하는 '멀티태스킹'은
효율적인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러 일을 동시에 하면,
결국 그 어떤 것도 완료하지 못한다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인간은 멀티태스킹에 최적화되어있지 않습니다.
여러 가지 일을 굉장히 빠르게 '전환' 하는 것뿐이죠.

전환에는 대가가 필요합니다.
그걸 우리는 '컨텍스트 스위칭 비용 (작업 전환 비용)'이라고 합니다.

이메일을 하다, 회의를 들으려고 하면
정신을 차리는 데 시간이 걸립니다.

그러다 메신저가 오면 다시 메신저를 들여다보고,
다시 한 번비용이 발생합니다.

해당 아티클에 따르면 이런 전환 비용은 약 20분이라고 합니다.

작업을 순식간에 전환한다고 생각하지만
전환 후 20분 동안, 그 어떤 작업에도 집중하지 못하는 상태인 것이죠.

이런 '전환'의 반복은
효율을 낮추고, 쉽게 지치게 합니다.

더 느리게 가기

그렇기에 빠르게 가기 위해
느리지만, 확실하게 쌓아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것을 도와주는 개념 중 하나가
"딥 워크"라고 생각해요.

요약: 빠르게 가고 싶을수록, 오히려 느리고 더 깊게 집중해야 합니다.
멀티태스킹은 착각일 뿐, 우리의 뇌는 한 번에 하나의 일에만 제대로 몰입할 수 있습니다.

딥 워크(Deep Work)

칼 뉴포트의 저서 "딥 워크"에서 제시한 개념입니다.

제가 생각하는 딥 워크는 아래와 같습니다.

  • 몰입 시간과 할 일 미리 계획
    • 하루 1~2시간 동안 무엇을 할 건지 미리 계획합니다.
  • 방해 요소를 모두 제거
    • 핸드폰, 알림 모두 차단합니다.
  • 멀티태스킹 하지 않기
    • 딥 워크 시간에는 절대 멀티태스킹을 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이걸 매일 실행하는 것이죠.

간단하게 한 문장으로 정리하면 이것이죠.

딥워크: 매일 1~2시간 집중하여 방해받지 않고,
오직 그것에 전념하기

하루 1~2시간 확보하기

저는 매일 오전 6시 30분에 기상합니다.
출근은 8시이기 때문에, 준비 시간을 제외하면
1시간 정도가 남죠.

그 시간에 글쓰기를 합니다.

오전 시간이 가장 적절했습니다.
아무도 연락 오지 않은 고요한 시간,
알림을 끄고, 핸드폰을 안 보이게 치워두고 작업을 합니다.

어떤 일을 선택할 것인가?

1시간은 짧은 시간일 수 있습니다.
그래서 "가장 영향력이 높은 일"을 진행해야 합니다.

저는 그것을 '글쓰기'라고 생각했지만,
여러분은 다른 일이 될 수 있습니다.

운동, 영상 편집, 코딩, 공부...
무엇이든 좋습니다.

영향력이 가장 큰 1~2가지 일을
선택해서 딥 워크를 시작해 보세요!

파레토 법칙

영향력에 대한 이야기를 조금 더 해보겠습니다.

느리게 갈 때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는,
'어떤 일에 전념하느냐'라고 생각해요.

이탈리아 경제학자 빌프레도 파레토의 이름에서 따온 이 법칙은

전체 결과의 80%가 전체 원인의 20%에서 일어나는 현상

을 의미합니다.

반대로 말하면, 아주 핵심적인 20%의 일이
80%의 성과를 낼 수 있다는 의미이죠.

그 일이 어떤 것인지 찾아야 합니다.
자신의 삶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진 그 일 말이죠.

한정된 시간에서, 우선순위는 굉장히 중요합니다.

저는 독서와 글쓰기를 가장 핵심적인 일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매일 오전 1시간 그 일을 하고 있죠.

여러분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단 한 가지 일,
무엇일지 생각해 보세요.

추천 서적, 원씽(The One Thing)

매일, 오래, 복리

중요한 키워드는 "매일, 오래"라고 생각합니다.

매일 같은 일을 조금이라도,
오래 지속할 수 있다면 엄청난 효과를 가져옵니다.

게다가 그 일이 굉장히 "핵심"적인 일이라면 말이죠.

1만 원으로 연간 10%의 수익을 올린다고 가정해 봅시다.
첫해에 10%를 벌면 연말에는 11,000원이 되겠네요.

그다음 해에는 12,100원 그 다음 해에는 13,300원이 되죠.

만약 30%씩 30년 동안 복리로 늘어난다면,
돈은 10배, 20배가 아니라 수 천배로 늘어나게 될 겁니다.

복리는 돈에만 적용되는 개념이 아닙니다.
삶에도 복리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꾸준하게, 오랫동안 지속하며 성장하는 일은
결코 무시할 수 없습니다.

느리지만 확실하게

이제 해야 할 일은 명확합니다.

  1. 내 삶에 가장 큰 영향을 줄 일을 찾기
  2. 매일 1~2시간 할 수 있는 시간을 만들기
  3. 실행하기

느리지만 확실하게,
매일 반복하면 탁월한 성과를 낼 수 있습니다.